효율 이야기....

Posted by 상준
2013. 8. 9. 11:54 훈련 이야기

모 까페에서 이런 질문이 올라왔습니다.

자전거를 바꾸면 얼마나 빨라지는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숙련자일수록 힘도 좋을테니 같은 거리에서의 평균속도도 빠를 것이고,

실력이나 힘은 좋으면 좋을수록 차이가 더 벌어지겠다고 생각을 했는데 어떤 분은

격차가 오히려 줄어든다고 (?) 하시더라구요. 그래서 실제로 그런가, 또 무슨 이유

일까 하고 궁금해서 글 남겨봅니다."


그럼 여기서 자전거를 바꾼다는 것은 효율의 향상이라고 한번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www.cervelo.com/en/engineering/thinking-and-processes/slow-vs-fast-riders.html


간단히 번역해 볼까요?


2명의 라이더가 있습니다. 한명은 시속 40km/h로 달릴 수 있습니다. 그가 자전거를 바꾸면, 2km/h의 속도 이득이 발생합니다. 또 다른 한명은 30km/h로 달릴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도 자전거를 바꾸면 동일 효율 이득에 의해 약 1.392km/h만큼 빨라졌습니다.


그럼 동일 조건으로 두 명이 같은 거리를 달린다고 가정해 보죠. 마치 20km ITT를 한다고 말이죠.


시속 40km/h를 달리는 사람은 그럼 30분이라는 시간이 걸릴 겁니다.

그런 그가 자전거를 바꾸면, 속력이 42km/h가 되고, t=S/V 니까 20km/42km/h=0.476시간이 되고 대략 28분 34초가 됩니다.


그럼 시속 30km/h로 달리는 사람은 어떻게 될까요? 

원래 30km/h로 달리는 사람은 20km를 달리면 기록이 40분이 나오게 됩니다.

자전거를 바꾸고 30km/h에서 31.391km/h로 빨라지고, 동일하게 20km/31.391km/h=0.637 시간이 되고 대략 38분 13초가 됩니다.


자 그럼 이제 시간 이득을 계산해 봅시다.

빠른 라이더는 30분에서 28분 34초로 빨라졌습니다. 시간 단축이 1분 26초만큼 되었습니다.

느린 라이더는 40분에서 38분 13초로 빨라졌습니다. 시간 단축이 1분 47초 만큼 되었고요.


분명 속도가 빨라진 정도는 빠른 사람이 더 빨랐습니다만, 동일 거리를 달렸을때 시간 단축 효과는 느린 라이더가 더 이득을 보았습니다.


뭐가 이렇게 만드는 걸까요?

그건 좋아진 효율이 적용되는 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전체 시간도 단축되기 때문입니다.


효율*시간 만큼 적용 되는 거니까요.


같은 이유로 철인 삼종을 하는데 시간 단축을 하는데 있어 가장 효율성을 높여야 하는 종목이 있다면 그건 싸이클이 되는 것과 유사합니다. 수영 시간/싸이클 시간/마라톤 시간을 모두 고려하더라도 싸이클 시간이 가장 길기 때문이죠. 물론 이 비율이 만약 다른 사람이라면, 가장 오랜 시간이 걸리는 종목에 폼이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훈련이 필요한 겁니다. 뭐 어디까지나 고르게 운동해야 하지만, 거기서 약간의 무게를 더 둔다면 말입니다.

'훈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높은 케이던스 훈련??  (0) 2013.08.27
Track Race 이야기 : Scratch Race  (4) 2013.08.18
Standing(댄싱)에 관하여...  (8) 2013.07.24
이 것 만은 하지 말아라.(파워미터 사용 관련)  (5) 2013.07.23
Fractal Image....2  (0) 2013.07.23

Garmin Vector의 Track에서의 가능성...

Posted by 상준
2013. 8. 8. 13:52 장비 이야기

흐음.....

Garmin Vector.....

Track용 Fixed bike에도 쓸수 있을까?


한 가지 걸리는게 있다면, Accelometer 때문인지, 사용 알고리즘 또는 방식의 문제인지 케이던스 측정이 30~150rpm 까지 밖에 안된다는게 문제이다. 만약 150 rpm 이상으로 측정이 된다고 하면, Track에서 값 비싼 Track용 SRM이나 레이스용과 훈련용 휠 사이의 선택으로 곤란해질 수 있는 PowerTap 대비 장점을 가질 것 같은데 말이다.

Track의 경우 벨로드롬에서도 훈련하지만, 야외에서 훈련 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기존의 파워미터 시스템이라면, 실내와 실외 파워미터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가민 Vector 시스템이라면 그런 문제는 사라진다. 이건 별거 아닌 것 같지만 굉장히 큰 메리트이다.

팀에서 1인당 한 셋트만 구비 한다면, 선수마다 다르게 사용하는 크랭크 암 길이나 Q-factor 때문에 여러 종류로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진다. 게다가 트랙용과 도로용을 나눌 필요도 없어진다. 또한 
파워탭으로 하자니 연습휠과 시합용 휠 사이에서 휠 빌딩 문제도 사라진다. 은근히 국내에서는 예산 등의 문제로 파워미터를 구비 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곳이 있는 것으로 아는데, Vector와 같은 페달형 시스템이라면 그러한 문제가 사라지지 않나 하다.


문제는 앞서 언급한 케이던스 측정의 한계로 단거리 스프린트나 경륜의 경우에는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경륜은 아마 클릿은 사용 안하는 것으로 안다.(시합때 말고 연습때에만 사용하면 되긴 하지만...) 그래도 최대 케이던스 150rpm은 범용성을 고려할때 너무 낮다.

물론 이러한 가정은 파워미터의 기본인 정확성과 신뢰성이 확보될때의 이야기이다.

그래도 Track의 중장거리 팀은 한번 눈여겨 볼만한 아이템이 아닐까 한다.

스포츠는 돈이면 다 해결되는 걸까?

Posted by 상준
2013. 8. 8. 10:26 잡담

The Finance of Team Sky라는 제목으로 올라온 기사이다.


http://inrng.com/2012/08/team-sky-budget-accounts/



일반적으로 대중에게 알려지기로는 Team Sky는 메인 스폰서인 BSkyB가 돈이 많기 때문에 엄청나게 많은 돈을 써가면서 팀을 운영한다고 생각되어지곤 했다. (BSkyB가 어떤 곳인지 모르겠다면, 간단히 이렇게 말할 수 있다. 미디어 재벌인 루퍼트 머독의 아들이 팀의 오너이다.)


기사의 내용을 대충 정리하면, Team Sky의 예산이 엄청나게 많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전체 프로 투어팀 중에 4~5위 정도 하고 있다는 것이고, 독특하게는 일반적으로 장비는 추가 스폰서를 통해서 해결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자전거 장비 구입에 팀의 예산을 많이 할애하고 있다고 한다. 아마도 익히 많이 알려진 바와 같이 추가분의 SRM 파워미터와 나름 중요하게 여기는 듯한 스폰 받는 휠셋 이외의 휠을 자체 제작 또는 구입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또 한가지 팀 전체가 정직원은 고작 3명이고 나머지 스태프들은 모두 선수와 같이 계약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팀에서 부담해야 할 영국의 살인적인 세금을 피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세금 일부를 팀에서 내주기 보다는 그냥 월급으로 퉁 치고, 각 스태프가 속해 있는 국가의 세금으로 알아서 처리 하도록 만든 것 같다. 어떻게 보면 다국적을 가지게 되는 프로 투어 팀의 성격상 잘 맞는 것 같기도 하다.


기사에서는 싸이클링 팀의 예산이 많이 들기 때문에 기업들이 싸이클링 팀을 후원하지 않는 것 같지만, 사실 팀 운영비는 기업들이 가지는 광고 예산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고 중요한 것은 스캔들 등으로 기업 이미지를 오히려 망치는 효과를 두려워 하는 것이 아닐까 한다는 글이 쓰여 있다.


여기서 비유로 BMC team이 거론 되는데, BMC는 가장 많은 예산을 쓰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성적이 좋지 못하다는 핀자을 최근 들어 듣고 있는데, 그도 그럴 것이 다른 팀의 스타급 선수들을 많이 영입했지만, 성적은 그에 비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어떻게 보면, 팀의 관리 체계나 신인 발굴 시스템 등에 보다 신경을 썼어야 하지만, 그것이 부족했던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하지만 BMC의 경우 메인 스폰서가 장비 스폰서이기도 하기 때문에 예산의 규모가 다른 팀 보다 클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정확한 거는 예산 정보를 분석해 봐야겠지만, 내가 뭐 회계사도 아니고... 봐도 모른다. 남이 분석해준 기사를 보지 않는 이상 ㅋ


그런데 기사 마지막 부분에 그런 이야기도 나온다. 그러나 Team Sky의 예산 편성은 초기 팀 구축 비용에 대해서는 포함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한 해의 예산 편성만 보고 그 팀의 경제 규모를 판단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이미 물류 시스템 구축 등의 기본 비용은 팀을 설립하는 초기에 다 들어가는 비용이기 때문이다.


여하튼 주요 논점은 팀의 메니지먼트 시스템에 사용되는 돈이 더 크다는 것과 스폰에만 의지 하지 않고 스스로 장비를 구매해서 사용한다는 것이 독특한 점이 아닐까 한다.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ology about copyright(저작권 문제에 따른 사과...)  (3) 2013.08.15
자전거로 낼 수 있는 속력은?  (0) 2013.08.12
하루 일과.....  (2) 2013.08.07
코치를 어떻게 선택할까?  (0) 2013.07.31
SNS.....쬐금 고민 중  (1) 2013.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