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칭을 위한 정보는 어디서 얻는 것일까?

Posted by 상준
2015. 8. 3. 04:23 훈련 이야기






320명의 코치에게 설문을 했다고 한다.

코칭을 위한 지식 또는 자료는 어디서 얻느냐는 질문이다.


크게 정형적인 교육 코스, 비정형적인 세미나 등의 코스, 그 이외의 방법으로 조사 되었다.


그 중 교육코스가 주될 것 같지만, 이것은 고작 2%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세미나 워크샵 또는 컨퍼런스 등에서는 고작 5% 정도가 정보를 얻는다고 한다.


그럼 나머지 대부분인 93%의 정보는 어디서 얻는 것일까?


42%는 1:1 대화를 통해서 얻는다고 답했고, 12%는 책을 통해서, 그리고 11%는 인터넷을 통해 얻는 다는 답이 있었다. 또한 동률로 11%는 다른 코치가 하는 것을 참조하고, 5%는 코칭을 하는 과정에서(경험을 통해), 3%는 멘토 코치 또는 선배 코치를 통해 얻는다고 답했다. 


그런데 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이렇게 정형적인 교육보다 이러한 방식을 선호하는 이유는 사회적 관계 때문이라는 대답이  28%, 느껴지는 만족도 때문이라는 답이 24%, 구체적 현실 계획 때문이라는 답이 19%, 현실 또는 경험에 기반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19%, 방향을 정해주기 때문이라는 점이 10% 였다.


대충 보았을때, 정형적인 교육의 경우 1:1의 딱 떨어지는 경우를 상정해서 이루어지기 보다는 많은 다수의 청중을 위하여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내용으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그러기 때문에 교육 대상자가 해당 이론 등에 대하여 자신의 경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깊은 이해가 필요하게 되는데, 스포츠 코칭의 경우에는 작은 디테일의 차이에 의해서도 많은 변수가 발생하는 분야여서 그런지 이러한 활용이 쉽지 않아 보인다.


그래서 1:1의 대화를 통한 구체화된 교육 또는 조언이 보다 효율적으로 느껴지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이론과 실제는 다르다고 더 각인이 되는지도 모르겠다.


그럼 설문에서 코치들은 무엇을 유용하다고 느꼈다고 답했을까?


66%는 교습 방법에 대한 것을 유용하다고 느꼈다고 한다. 그럴만도 한게, 결국 코치들이 하는 일은 결국은 선수와 만나면서 같이 일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어떠한 것보다 사람을 상대하는 일이 가장 어렵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그런데 조금 나쁘게 생각하면, 지금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코칭이라는 것이 상당히 너무 단편적 또는 한정적인 경험 위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한정적인 코치들 사이에서의 경험 공유 정도가 한계이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기존의 교육 방법들이 보편적 방법에 한정되면서 발생하는 어쩔 수 없는 결과인 것도 같고 말이다.

참 어려운 이야기다.

'훈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reshold(역치)란?  (0) 2015.09.07
FTP == 1시간 TT ??  (0) 2015.08.07
TDF에서 상위권에 들려고 한다면...  (0) 2015.08.01
뚜르드 프랑스 선수들은 어떻게 먹지?  (0) 2015.08.01
Q & A  (0) 2015.06.25